대한민국에서 공공기관, 대기업 및 중소기업 등의 노동자라면 월급을 받을 때 세금을 내고 나서 월급이 들어옵니다. 세금에는 4대 보험이 포함되어 있으며, 4대 보험에는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4대 보험이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직장을 다니면서 질병, 노후 또는 퇴직 후, 실업, 산업재해 등을 경험했을 때 정부의 지원 또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직장인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보험
4대 보험 중 건강보험은 직장 가입자가 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었을 때 받는 세금 혜택입니다. 평소 보험료를 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우리의 건강을 관리해 주고 보험금을 운영하다가 필요할 때 보험급여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그래서 직장인들은 2년에 한 번 또는 1년에 한 번 건강검진받는 것이 필수이며, 건강보험관리공단에서 관리해 줄 때 건강검진을 잘 받아야 질병 발생 시 경제적 어려움을 피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건강검진을 받지 않는다면 질병에 걸렸을 때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2. 국민연금
4대 보험 중 국민연금은 노후 또는 퇴직 후 받는 세금 혜택입니다. 향후 노년기가 되어 소득이 없을 때 최소한의 연금급여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국민연금은 평소 관리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는 세금 중에 하나이기도 하고 매년 물가상승에 따라 납입금액이 증가되기 때문에 내는 것에 비해 추후 받는 금액이 적은 건 아닌지 걱정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노후준비서비스에서 내 국민연금을 알아볼 수 있고 기초연금 모의계산도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제도는 직장 다니던 중에 실업 또는 무직 상태 기간이 있다면 국민연금 추가 납입 제도를 통해 추가 입금이 일시금, 활부금 두 가지 방법으로 납입이 가능합니다.
3. 고용보험
4대 보험 중 고용보험은 실업 상태에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입니다. 현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업 상태에 있을 때뿐만 아니라 모성보호제도와 관련된 것으로 육아휴직급여, 출산전후휴가급여,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배우자출산휴가급여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고용보험은 실업자, 육아휴직자 이외에 근로자도 직업능력개발 향상을 위한 제도 예를 들면 직장인 내일 배움 카드 활용도 고용보험에 대한 혜택입니다. 고용보험 활용은 공공기관은 잘 활용되고 있지만 중소기업 또는 5인 이하의 소기업 같은 경우에는 보험제도를 잘 몰라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노동자가 고용보험에 대해 잘 숙지하고 근로복지공단, 고용복지센터 홈페이지 내용을 확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좋습니다.
4. 산재보험
4대 보험 중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직장 근무 중 재해, 상해를 입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입니다. 4대 보험 중 유일하게 회사부담이며 업종별로 부담금은 다를 수 있습니다. 직장에서 산재보험을 내준다 하더라도 웬만하면 혜택을 받고 싶지 않은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산재보험은 직장을 다니다가 발생한 질병, 부상, 장애, 사망에 이르게 되면 받는 혜택이기 때문입니다. 질병, 부상,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치료를 받고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보험금을 지원해 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직장인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직장인이라면 월급에서 내는 세금 종류인 4대 보험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어떠한 일이 발생했을 때 사회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사 위기 경보 발생 시 대처요령 (0) | 2023.04.12 |
---|---|
직장인 회식에서 살아남는 방법 (0) | 2023.04.09 |
직장인 다이어트 간식 추천 (0) | 2023.03.27 |
직장인 다이어트 종류 추천 (0) | 2023.03.26 |
직장인 건강검진 추가로 받으면 좋은 항목 (0) | 2023.03.19 |
댓글